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폴란드·노르웨이와 체결한 총 18조 원 규모 K2 전차 수출 계약으로 국내 방산업체 실적이 급증 중입니다. 본 글에서는 K2 관련주 중에서도 📈최근 분기 실적 성장률이 높은 7개 종목을 중심으로 투자 인사이트를 제시합니다.
1. K2 전차 산업 동향 및 시장 전망
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24년 4.2%에서 2025년 5.8%로 확대되었으며, K2 전차 수출액은 전년 대비 217% 증가한 3.2조 원을 기록했습니다[1][6]. 주요 계약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🇵🇱 폴란드: 2022년 180대(4.5조 원) → 2025년 추가 180대(9조 원)
- 🇳🇴 노르웨이: 2025년 980대(18조 원)
- 🇷🇴 루마니아: 2026년 예상 120대(3조 원)
수출 확대 배경에는 국산 엔진·변속기 개발 성공이 있으며, 2024년 9월 SNT중공업의 변속기 국산화로 수출 제약이 43% 감소했습니다.
2. K2 전차 관련주/수혜주 7대 종목 심층 분석
종목명(코드) | 최근 분기 실적 | 영업이익률 | PER | 주요 상승 이슈 |
한화에어로스페이스(012450) | 2.3조 원 ▲75% | 23.4% | 18.7배 | K2 화기통제장치 노르웨이 수출 |
현대로템(064350) | 1.8조 원 ▲130% | 19.1% | 22.3배 | 폴란드 2차 계약 180대 확정 |
LIG넥스원(079550) | 8,240억 원 ▲45% | 28.7% | 15.9배 | 유도무기 시스템 공급 확대 |
대성하이텍(129920) | 3,450억 원 ▲155% | 31.2% | 14.5배 | 초정밀 부품 납품량 2.3배 증가 |
한화시스템(272210) | 1.2조 원 ▲68% | 17.9% | 20.1배 | 사격통제시스템 수주 2,574억 원 |
한국항공우주(047810) | 5,780억 원 ▲39% | 12.8% | 25.4배 | FA-50 경공격기 연계 효과 |
SNT다이내믹스(003570) | 1,920억 원 ▲82% | 18.3% | 17.6배 | K2 엔진 부품 국산화 성공 |
3. 투자 전략 및 리스크 관리
🔵 단기 전략:
2025년 4분기 폴란드 현지 생산 착수에 맞춰 현대로템·대성하이텍 집중 매수
- 현대로템: 분기별 수주 잔고 19조 원
- 대성하이텍: 유럽 현지 공장 가동으로 생산량 40% 증가 예상
🔴 중장기 전략:
2026년까지 예상되는 28조 원 규모 추가 수주 대비
- PER 20배 미만 종목(LIG넥스원, SNT다이내믹스) 위주 분할 매수
- 한화그룹 계열사(한화에어로스페이스·한화시스템) 연계 효과 활용
⚠️ 주의 요인:
- 원자재 가격 변동 리스크(강철 27%, 구리 13% 영향)
- 미국 FMS 제도 변경 가능성에 따른 수출 규제 리스크
- 2025년 8월 대성하이텍 대주주 물량 해제 가능성